UPS 용어해석
1. 동작용어
1) 인버터부(INVERTER) :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화하는 과정부분 BATTERY의 직류전원을 반도체 소자(IGBT, Transistor, FET등의 소자)로 변환하여 교류전원으로 만든다.
2) 콘버터부(CONVERTER) : 가항과 반대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부분 입력전원의교류를 반도체(SCR, Diode)로 정류하여 BATTERY를 충전하는동시에 인버터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(ON-LINE방식에 사용함)
3) 절체스위치(STATIC SWITCH) : 상용전원(BYPASS 전원)에서 인버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출력의 끊어짐이 없도록 하기위해 반도체를 SWITCH로 사용한다. (주로 SCR이나 Triac등을 사용)
4) 동기 절체 : 인버터의 고장이나 임의 조작에 의해 입력전원으로 절체하는 경우에서로의 동기(위상차)를 맞추어야만 절체용 반도체 및 부하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절체를 할 수가 있다. 절체시간이 짧은 전원장치가 좋으며 일반적인 절체시간은 4msec(0.004초),2msec,무순단(끊어짐이 없다: 최근제품)등이 있다.
5) BACK-UP시간 : 정전이 되어서 BATTERY를 사용하여 정전보상하는 시간을 말한다. 일반적인 시간10분, 30분, 1시간, 2시간, 5시간, 8시간등이 있으며 이외는 주문이나 사용자에 따라 세분화하거나 시간연장을 할 경우도 있다.
2. 전기적 특성용어
1) 용량표기- KVA : 무정전전원장치의 용량표기는 주로 피상전력이라는" KVA " 라고 표기하며 이는 순수한 출력전류와 전압을 곱하는 방법이다. 일반적으로 통용하는 " KW " 는 유효전력을 표시하며 이는 피상전력에 역률을 곱한 것으로 출력의 부하성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주로 " KVA " 로 표시한다.
2) 전압안정도 : 출력의 최고 부하와 무부하시의 전압차를 말하며 수치가 적을수록 좋은 장비이다. (시험 항목 참조)
3) 파형왜율 : 출력정현파의 찌그러짐을 표시하며 적은 수치가 좋은 파형이다 %로 표시하며 보통 5%, 3%가 있다.
4) 과도 응답 전압 : 부하에 따라 출력전압의 출렁임을 말하며 이수치가 작을수록 좋은 장비이다. 일반적으로 0∼50% 부하시 8%, 5% 등이며 부하를 50% 순간적으로 투입했을 때 변화한 전압비를 말한다. (시험항목 참조)
5) 과도 응답 속도 : 부하에 따라 출력전압의 출렁임의 시간을 말하며 이 수치가 작을수록 좋은 장비다. 일반적으로 50, 80, 100, 200msec이며 순간적인 부하변동시 정격전압으로의 회복시간을 말한다.
6) 효율 : 입력전력(KW)과 출력전력(KW)의 백분율한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장비이다. 일반적으로 75% ∼ 90%이며 이보다 낮거나 높으면 (높을 만한 소자나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)좋은 장비라 할 수 없다. 용량이 커질수록 효율은 크다. 구분은 종합효율(콘버터+인버터)과 인버터 효율이며 이의 차이를 잘 확인 해야 한다.
7) 소음 : 일반적으로 장비의 전방 1.5m, 상부 1.5m에서 측정하며 보통 45dB∼65dB(데시벨)이다. 소음이 낮을수록 좋은 장비임은 말할 것도 없다. " FAN 정지시 40dB"등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방열용 FAN의 동작소음이 크기 때문에 별 의미없는 표시이다.
8) 과 부하 내량 : 이는 제용량의 몇 %를 견디는지의 수치이다. 일반적으로 " 120%의 5분 " 등으로 표시하고 제용량의 120%에서 5분을 견딜 수 있는 제품이라는 것이며 이항목은 부하의 종류에 따라 선택해야 하는 것으로 중요한 내용이다.
9) 온도 상승 시험 : 장비의 온도상승시험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약 8시간 정격부하를 걸어서 시험한다. 측정부위가 주로 MAIN TRANS, 반도체, 주요소자등이며 온도기록계로 측정하고 UPS 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판단의 시험이다. 표기는 deg(degree)로 표기하며 이는 주위온도를 추가하지 않은 온도 상승을 나타낸다. |